신혼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거 뭐라고 생각하세요?? 다들 웨딩촬영이니 허니문이니 인스타감성 집꾸미기니 하시는데요,, 현실적으로는 돈! 재무설계! 이게 진짜 젤 중요하거든요!
아무리 사랑해서 결혼했어도 통장 잔고 바닥나면 분위기 팍 식어요ㅠㅠ 그래서 오늘은 신혼부부를 위한 현실적인 재무설계에 대해 진짜 낱낱이 파헤쳐볼게요. 이거 하나면 결혼하고 나서 금전싸움 없이 평화롭게 신혼생활 할 수 있어요ㅋㅋ
사실 저희 부부도 결혼 전엔 그냥 돈 모아서 결혼만 하면 될 줄 알았지, 그 뒤에 삶은 진짜 머리 터지는 줄 몰랐어요ㅠㅠ 결혼비용도 정리 안 돼있고, 월세는 어떻게 할지, 생활비는 누가 관리할지, 서로 가치관도 너무 다르고요,, 그래서 재무설계 없이 시작한 한달차에 바로 깨달음 얻고 둘이 앉아서 엑셀 켜고 진짜 머리 싸매고 계획 짰었거든요ㅎㅎ 그 덕분에 지금은 한달에 저축도 잘 되고 싸움도 줄었답니다ㅋㅋ
그럼 지금부터 신혼부부가 꼭 알아야 하는 재무설계 꿀팁들 다 알려드릴게요.
딴거 필요없고 이부분이 핵심!! 절대 스킵하면 안됩니다ㅎㅎ
신혼 재무설계 왜 꼭 필요할까?
경제적인 기준이 다르면 부부싸움이 생겨요
연애할 땐 커피 한 잔, 밥 한 끼가 좋았는데 결혼하고 나면 그게 돈으로 다 보여요;; 예를 들어볼께요, 남편은 배달비 아까워서 집밥 해먹자는 스타일인데 저는 외식이 일주일 힐링이었거든요?? 서로 뭐가 아까운지 포인트가 다르면 쓸데없는 감정싸움으로 번지기 딱 좋아요ㅠㅠ 그래서 재무설계는 단순히 돈 모으는 게 아니라 서로의 소비성향을 이해하고 조율하는 과정이에요.
결혼생활에서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 돼요
집을 전세로 갈지 월세로 갈지, 보험은 뭘 가입할지, 차는 살지 말지… 이 모든 걸 결정할 때 기준이 되는 게 바로 재무설계거든요. 계획 없이 그냥 닥치는 대로 결정하면 나중에 빚만 쌓이고 후회만 한가득이에요ㅠㅠ
신혼부부가 꼭 짜야 할 5가지 기본 재무설계
월소득 총정리부터 시작해요
이거 진짜 기본 중 기본인데, 의외로 많은 부부들이 서로의 정확한 월소득을 몰라요;;
첫번째로 해야 할 건 각자의 세후 소득 확인이에요. 월급뿐만 아니라 상여금, 프리랜서라면 프로젝트 수입 등 고정+변동소득 전부 포함해서 정확히 얼마 벌고 있는지부터 파악해야 돼요.
예시:
남편 – 세후 월 300만원, 분기 상여금 100만원
아내 – 세후 월 260만원, 투잡수입 월 50만원
→ 총합 평균 월소득: 약 610만원
이걸 알아야 예산계획을 현실적으로 짤 수 있겠죠??
생활비 예산 항목을 세세하게 나눠요
저희는 처음엔 그냥 ‘생활비 200만 원으로 해~’ 이렇게 뭉뚱그렸는데, 매달 초과됐어요;; 그래서 아래처럼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나누고 상한선 설정하니까 훨씬 컨트롤이 쉬웠어요.
- 식비: 60만원
- 주거비(월세/관리비): 80만원
- 교통비: 15만원
- 통신비: 10만원
- 유흥/데이트비: 30만원
- 보험료: 25만원
- 비정기지출(경조사/쇼핑 등): 30만원
→ 총생활비: 250만원
이거 정리만 해놔도 매달 카드값 폭탄 맞을 일은 확 줄어요ㅋㅋ
저축과 투자 비율은 딱 정해놓자
많은 분들이 저축은 “남는 돈으로” 하려고 하시는데, 그러면 진짜 한 푼도 안 남아요 ㅋㅋㅋㅋ
저축은 지출 후 남는 돈이 아니라, 먼저 떼고 시작해야 해요.
저희는 이렇게 나눴어요:
- 비상금 저축: 월 50만원
- 장기 저축(집 마련 자금): 월 100만원
- 투자(펀드, ETF): 월 50만원
이렇게 총소득의 30~40% 정도를 저축/투자용으로 배정하면, 2~3년 안에 큰 금액 모이는 게 가능해요ㅎㅎ
보험은 꼭 리모델링 해야 돼요
신혼 초에 가장 많이 놓치는 부분이 보험 리모델링이더라구요.
결혼 전 가입했던 보험이 지금 생활과 안 맞는 경우 진짜 많거든요??
예를 들어, 남편은 예전에 부모님이 들어준 20년 된 실비보험 하나만 덜렁 있었고, 저는 무려 4개 보험에 가입돼 있었는데 겹치는 특약이 두세개나 됐어요 ㄷㄷㄷ
전문가랑 상담 받고 리모델링 했더니 월 보험료가 둘이 합쳐 15만원이나 줄었어요ㅋㅋㅋ 이 돈으로 추가저축하고 있어요~
신용카드/체크카드 체계 정리도 필수!
두 명이 쓰는 돈이니까, 카드도 체계적으로 정리해놔야 진짜 소비통제돼요.
저희는 이렇게 나눴어요:
- 공동체크카드: 식비, 공과금, 생활비용
- 개인신용카드: 각각의 개인용돈, 스타일 소비
- 예비용카드: 갑작스런 비정기 지출용
이렇게 해두면 누가 얼마 썼는지 따로따로 구분돼서 돈 싸움 안 나고 편해요ㅋㅋ
신혼부부를 위한 추천 재무관리 툴
똑똑한 가계부 앱 BEST 3 비교표
앱이름 | 장점 | 단점 | 추천지수 |
---|---|---|---|
브로콜리 | 자동으로 카드/통장 연동 | 가끔 오류 생김 | ★★★★☆ |
뱅크샐러드 | 자산 전체 통합관리 가능 | 화면이 복잡할 수 있음 | ★★★★☆ |
머니매니저 | 수동입력에 충실, 예산관리 탁월 | 자동연동 없음 | ★★★☆☆ |
제가 실제로 쓰는 앱은 브로콜리에요ㅋㅋ
카드랑 계좌 자동으로 연동돼서, 소비 흐름 한 눈에 보여요.
저는 ‘데이트비용’만 따로 태그해서 한 달에 얼마나 쓰는지 확인하는데, 이게 진짜 알뜰하게 사는 데 도움돼요ㅎㅎ
신혼부부 재무설계 핵심정리
- 서로의 소득과 소비습관 공유 필수
- 고정지출, 변동지출 나눠서 생활비 계획세우기
- 저축은 지출 전에 떼놓기! 최소 30% 목표로!
- 보험 리모델링으로 지출 최적화 가능
-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는 목적별로 분리해서 사용
비슷한 상황의 신혼부부라면 이런 선택지도 있어요!
항목 | 제품명 | 추천 이유 |
---|---|---|
보험관리 | 굿리치 | 보험통합 조회, 리모델링 정보 풍부 |
저축관리 | 토스 | 금리 높은 자유적금 연동 쉬움 |
카드관리 | 현대카드 제로 | 할인은 없지만 고정지출 통제에 탁월 |
굿리치 앱, 진짜 쩐다!
보험 비교 분석을 자동으로 해줘요. 예전에는 FP한테 일일이 물어봐야 했던 걸 이 앱 하나로 해결ㅋㅋ
특약 겹침 알림 뜨는 기능도 있어서 진짜 놀람;; 보험 초보라면 이 앱 꼭 깔아보세요ㅎㅎ
결혼 준비만큼 중요한 재무설계, 미루지 마세요!
신혼생활은 달콤하지만 현실은 금방 따라옵니다ㅋㅋ
두 사람의 삶을 함께 설계하려면, 돈 이야기를 피해가면 안 돼요. 오히려 더 먼저, 진지하게 대화 나눠야 할 주제거든요.
혹시 아직 “돈 이야긴 결혼 후에 천천히 하자~” 하고 미루고 있다면
아.. 조졌다 싶을 날이 금방 옵니다 ㅠㅠ